본문 바로가기
알짜정보

보이스피싱 주요 유형(실제 대화 예시 및 피해 사례) 및 대처법 정리

by 초이아트1970 2025. 4. 15.

요즘 현대적 스마트 시대로 발전하면서 '보이스피싱' 과 같은 악성 범죄에 노출되는 사례가 점점 더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보이스피싱(Voice Phishing)은 전화를 이용한 금융 사기 수법으로, 피해자의 개인정보나 금융정보를 탈취하거나 금전을 직접 송금하게 하여 경제적 피해를 입히는 범죄입니다. 요즘처럼 경기가 침체되고, 물가 불안, 고금리, 소득 감소의 현실속에서 어느 때 보다 보이스피싱에 당하기 쉬운 상황입니다. 이에 있어서 보이스피싱의 주요 유형사례와 실제 대화 예시 및 피해 사례, 그에 따른 대처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살펴 보고자 합니다.

보이스피싱 이미지
<출처>보이스피싱 이미지(pixabay)

보이스피싱 주요 유형 사례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1. 정부기관 사칭형

1) 내용 : 경찰, 검찰, 금융감독원, 국세청 등 관련 기관을 사칭해서 "범죄에 연류 되었다", "계좌가 범죄에 이용되고 있다" 며 협조를 요구.

2) 수법 : 수사기관을 사칭하여 "당신 명의의 계좌가 범죄에 사용됐다"고 주장하며, 개인정보, 계좌정보, OTP 번호를 요구하거나 안전계좌에 이체를 유도하면서 가짜 공문서, 가짜 홈페이지를 보여주며 신뢰감을 갖도록 유도 하는 수법.

 

2. 대출 사기형

1) 내용 : 금융기관이나 대출 회사를 사칭하여 "저금리 대출이 가능하다" 고 속이는 방식

2) 수법 : "기존 대출을 상환하면 더 좋은 조건으로 대출이 가능하다" 며 상환을 유도하며, "보증 보험료, 신용등급 향상 비용" 등의 명목으로 선입금을 요구하는 사기 수법.

 

3. 기관 납부/환급형

1) 내용 : 건강보험공단, 교육청, 국세청 등을 사칭해 "환급금이 있다'며 정보를 요구하는 방식

2) 수법 : "세금 환급", "건강보험 환급" 등의 명목으로 계좌정보 입력을 유도하며, 스마트폰 원격제어 앱 설치를 유도해서 직접 계좌 이체를 시도하는 사기 수법

 

4. 지인 사칭형 (메신저 피싱 포함)

1) 내용 : 가족, 친구, 회사 동료 등을 사칭하여 긴급한 상황을 만들어 송금을 유도하는 방식

2) 수법 : 카카오톡, 문자 등으로 "휴대폰 고장"이라며 급하게 송금을 요청하는 수법으로, 음성 통화 없이 대화를 유도하고 입금을 강요하는 수법

 

5. 수거책 활용형

1) 내용 : 현금 수거책을 직접 보내 피해자에게 돈을 수거하게 하는 방식

2) 수법 : 검찰 수사 중 "안전계좌 필요" 등의 명목으로 피해자에게 현금을 인출하게 하며, 실제로 수거책이 집 앞이나 특정 장소에서 현금을 가져 가는 수법

 

보이스피싱 실제 대화 예시 및 피해 사례는 이렇습니다

<사례1> 정부기관 사칭 - 검찰 사칭

▪️ 대화 예시

사기범 : "여보세요, ㅇ ㅇ 씨 맞으시죠? 서울중앙지검 수사관입니다. 현재 본인의 명의가 범죄 계좌에 이용되어 수사를 받고 있습니다."

피해자 : "무슨 말씀이죠? 저는 그런 적이 없는데요."

사기범 : "그럼 본인 확인이 필요합니다. 주민등록번호와 계좌번호를 말씀해 주시겠어요?"

피해자 : (개인 정보 제공)

사기범 : "이 계좌는 이미 범죄에 연루되어 있으므로 안전계좌로 자금을 옮겨야 합니다. 안내드리는 계좌로 이체해 주세요."

▪️ 피해 내용 : 50대 여성, 검사 사칭 전화에 속아 3천만원 이체, 이후 계좌 지급정지 요청했으나 이미 인출됨.

 

<사례2> 대출 사기 - 금융회사 사칭

▪️ 대화 예시

사기범 : "안녕하세요, ㅇ ㅇ 캐피탈입니다. 기존 대출보다 낮은 금리로 대환 대출이 가능합니다."

피해자 : "대출이 가능하다고요? 어떤 조건인가요?"

사기범 : "기존 대출 500만원을 먼저 상환하셔야 저희 상품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선 보증보험료 80만원을  선입금 해 주세요. 그리고 기존 대출금 상환 할 수 있는 가상계좌 보내드렸으니 이쪽으로 입금해주세요."

피해자 : (입금 완료 후 연락 두절 당함)

▪️ 피해 내용 : 20대 남성, 저신용자 대상 대출 미끼로 선입금 요구, 총 200만원 편취한 사례

 

<사례3> 지인 사칭 - 카카오톡 피싱

▪️ 대화 예시

사기범 : (지인 사칭) "엄마, 나 핸드폰이 고장나서 지금 친구 폰으로 연락해. 급해서 그런데 돈 좀 보내줄 수 있어?"

피해자 : "어 그래? 얼마나 필요 해?"

사기범 : "200만원, 이 계좌로 지금 보내줘야 돼."

피해자 : (입금 후 실제 자녀에게 전화해보니 사기 확인)

▪️ 피해 내용 : 60대 어머니, 딸을 사칭한 메시지에 속아서 송금, 사기 계좌로 즉시 인출 됨.

 

<사례4> 환급 사칭 - 건강보험공단 / 국세청

▪️ 대화 예시

사기범 : "건강보험공단입니다. 보험료 환급금 15만원이 있습니다."

피해자 : " 오 그래요?"

사기범 : "환급 받으시려면 본인 확인을 위해 링크 해드린 앱을 하나 설치해주셔야 합니다. 보안 앱입니다."

피해자 : (앱 설치 후 자동으로 계좌 이체 발생)

▪️ 피해 내용 : 피해자는 스마트폰 원격제어 앱(TeamViewer, AnyDesk 등)을 설치해 주었고, 사기범은 피해자 계좌를 조작해 자금 탈취.

 

보이스 피싱 대처 방법은 이렇습니다

1. 의심 전화 즉시 차단

출처가 불문명하거나 정부기관이라 주장하는 전화는 끊고, 해당 기관에 직접 문의하여 확인하여야 합니다. 금융 관련 요청은 절대 전화로 처리하지 않습니다.

 

2. 개인정보 절대 제공 금지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카드번호, OTP 번호, 인증서 비밀번호 등은 절대 전화로 알려주지 말아야 합니다.

 

3. 출처 불명의 링크 앱 설치 금지

'원격지원 앱', '금융보안 앱'이라며 앱 설치를 유도하는 경우 절대 설치하지 말고 즉시 종료하여야 합니다. 이미 설치 했다면, 와이파이 및 데이터를 차단하고 즉시 삭제 후 보안을 점검하기 바랍니다.

 

4. 가족/지인 요청 시 반드시 직접 통화하여 확인

메신저로 송금을 요청 하는 경우, 반드시 지인과 실제로 통화를 통해 본인 확인 후 처리하기 바랍니다.

 

5. 의심 상황시 즉시 신고

112(경찰청), 금융감독원 1332, 보이스피싱 지킴이 사이트 https://www.fss.or.kr 

 

금융감독원 통합홈페이지

금융감독원 통합홈페이지.

www.fss.or.kr

6. 보이스피싱 피해 시 대처방법

1) 즉시 송금한 금융회사 고객센터에 연락하여 계좌 지급 정지 요청하기 바랍니다.

2) 112 또는 가까운 경찰서에 피해 신고하시기 바랍니다.

3) 금융감독원에 피해 사실을 접수 하시기 바랍니다.

4) 전자금융거래 분쟁 조정 신청도 가능합니다.